top of page

​언어의 주름에서 삶의 서사를 퍼내기
이장욱의 《피난 온 언어 Displaced Language》 프로젝트로부터 

심상용 (미술사학 박사/서울대학교) 

2019년 11월 부산 소재 홍티 아트센터에서 이장욱의 개인전은 <피난 온 언어 Displaced Language>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전시는 부산에서 만난 네 사람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구성, 전개된다. 그들의 상이한 네 개의 직업은 깡깡이 마을, 밀면, 커피, 영화로, 각각 이장욱이 추출해낸 4개의 지역코드에 따른 것이다. 예를 들면 ‘밀면’은 6.25전쟁 피난 시절 부산에서 만들어진 음식이고, 부산영화제는 오늘날 부산의 대표적인 ‘문화 브랜드(culture brand)’로 자리 잡았다. 정작 전시실에 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시실과 바로 이웃해 있는 그의 아틀리에에는 ‘하꼬방’이나 ‘달세방’ 같은, 이장욱이 이 프로젝트를 위해 수집했던, 지역의 고단했던 과거와 변화하는 현재를 내포하는 단어와 사진 이미지들이 가지런히 걸려 있다. 작가가 ‘피난 온 언어’로 표현한 그것들에는 피난 수도이자 항구도시인 부산의 정체가 수록되어 있다.

 

언어에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실존에 각인된 인고의 세월이 반영되어 있다. 언어 자체가 시간과 공간에 의해 접혀진 기억과 역사의 주름인 것이다. 언어는 삶에 열려 있음을 넘어 삶 자체이기도 한 바, 그런 만큼 끊임없이 불안정하고 유동하고 변화한다.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가운데, 현대인의 인간의 사유하고, 상상하고, 소통하고, 관계를 맺고, 기억하고, 해석하는 결정적인 행위들은 점점 더 이 불안정하고 덧없는 언어에 의존한다. “이 불완전한 것을 가지고 지금껏 주거니 받거니 해온” 모든 실존의 사건들은 이 불안정성과 덧없음의 산물들의 재현이다. 삶이 언어를 만들지만 그렇게 만들어진 언어가 삶을 통제한다. 이것이 이장욱이 다양한 방식으로 말과 문자를 추적해온 맥락일 것이다. 이번에도 그는 불안정하고 변화하는 살아있는 언어를 질료로 삼는 것에서 출발한다.

 

언어는 단지 표현과 소통의 ‘도구’에 그치지 않는다는 인식이 현대미술의 초기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다가 철학적 사유와 결합되거나 또는 포섭되면서, 언어와 예술의 관계는 그 긴밀성을 더해 왔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이미지의 반역(ceci n’est pas une pipe)>(1929)가 대표적으로 그렇듯, 언어와 이미지의 상관성이 즐거이 탐구되었다. <피난 온 언어 Displaced Language> 에서 이장욱은 소리와 이미지의 상관성과 그것의 역전시키는 실험을 통해 자신의 기호학적 추구를 이어나간다. 소리와 영상의 전복을 위해 작가가 사용하는 하나의 방법은 상이한 직업을 가진 네 명이 각각 자신의 분야가 아니라 다른 분야의 단어를 들었을 때 환기되는 기억이나 경험을 논하도록 인터뷰를 구성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네 명의 인터뷰 내용을 그들 각각의 영상과 분리시켜 다른 영상에 붙이는, 이를테면 영상과 소리를 충돌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일면 관람자의 안온한 감상을 교란함으로써 문법의 해체를 꾀하는 조셉 코수스(Joseph Kosuth)류의 개념주의적 접근의 일환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물론 이장욱의 의도는 언어를 그것이 발화자의 개인의 맥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으로, 그러한 분리를 통해 언어를 오롯이 더욱 독립적인 요인으로 인식시키고자 하는 것에 있긴 하더라도 말이다. 

 

그럼에도, 이 분리의 취지는 예컨대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가 그렇게 하고자 했던 것과 같은, 언어와 구조를 해체하는 것과는 다르다. 물론 로버트 인디애나(Robert Indiana)나 에드 루셔(Ed Rusha)처럼 언어의 형상성을 통해 언어 자체의 순수로 회귀하려는 노력에 다가서는 것도 아니다. 이장욱의 관심사는 그것의 형식화, 미학화 보다는 사건과 기억이 그것의 내부에 남긴 시간과 공간의 주름에 대한 기호학적 추적 자체에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중요한 또 한 가지는 이장욱의 분리가 오히려 언어의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더욱 선명하게 부각시키기 위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해체와는 다른 방향의 것이라는 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장욱의 실험은 오히려 복원의 의미마저 지니고 있다. 언어의 내적 주름을 추적하고 펴서 개인화되거나 일상화되어 무뎌진 것들에 가려진 삶의 역사를 서사적으로 재구성해내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적 맥락에서 언어의 구조적 가변성을 살펴보는 작업으로 고고학적 작업과도 유사한 것이다. 이장욱의 이번 전시는 이렇듯 언어를 수집하고, 그것의 의미와 형태를 관찰하고 탐구하고 해석해온 그의 맥락의 연장이다. 자신의 고유한 감성과 인식에 기반해 언어의 고유한 속성과 온도와 분위기를 포착해내는 것, 각각의 연대기적 층위에 내재하는 상실과 환희, 상처와 회복, 우울감과 쾌활함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장욱의 태도는 진지하고, 또 자신의 다루는 대상계에 대한 따뜻한 인간의 애정이 녹여져 있다. 이것이 우리가 그로부터 우리 자신을 발견하는 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더 깊고 흥미로운 길을 기대하도록 만드는 근거가 되고 있다.

Poyring out the narration of life from the wrinkles of Language

From the project 《 Displaced Language》by Lee Jang Wook

Sim Sang Yong (Dotorate on art history/Seoul university)

Lee Jang Wook's solo exhibition in Hongti art center in busan 2019 November, has the subtitle of <Displaced Language>. Exhibition is formed and proceeded with the interviews of four people met in busan. Their different four jobs is following the four reginal codes that Lee Jang Wook extracted like a KANGKANGEE Art Village, wheat noodles, coffee and movies. For example, 'Wheat noodle' is a food made in Busan from the days of refuge in 6.25 war and the BIF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s set it's position as a 'culture brand' that represents Busan. Even though it was never exhibited in the gallery, in the workshop right next to the gallery, there are photo images like ‘Haggobang’ or 'Dalsebang' that represents the hardship of the past and ever-changing present of the regions for Lee Jang Wook's project. Those things that the artists described as a 'disclosed language' has records of Busan's identity as a refuge capital and a seaport.

There is a time of patience based on existence of people using it reflected in language. Language itself is the wrinkle of memory and history, being folded by time and space. Language flies over the concept of being open to life and also life itself, so it is ever-changing, instable and flowing. As the speed of it gets faster and faster, modern human's actions like imagining, communicating, relating, remembering, possessing and interpreting relies more and more on this instable and short-lived language. Every existing incidents is the reenactment of result of transitory things that "gave and received with this instability". Life makes language but that made up language controls life. This time he starts from making the ever-changing, instable, living language as a substance.

An awareness that language is just a 'tool' of expressing and communicating has considered with an important gravity in early modern art. But then as language was combined or won with philosophical cause,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art has lasted their vertebration. René Magritte's <ceci n'est pas une pipe>(1929) typically shows, an inter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image was happily researched. In < Displaced Language>, Lee Jang Wook keeps on his semiologic search through experiments to turn around the inter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image. One method the artist use for toppling sound and video is to composite the interviews of four people with different jobs to discuss about remember or experience that gets reminded when they hear a word from different category. for example, colliding video and sound. This can be understood as Joseph Kosuth's  part of conceptualist approach that aims to disassemble grammar by disturbing the viwer's peaceful admiration. Of course Lee Jang Wook's intention is to separate language from that of speaker's individual context, even when by doing so, he aims to realize language as a complete independent factor. 

 

Even so, the intention of this separation is like how Jacques Derrida tried to do, disassembling language and structure. Of course it is not an effort to go back to the pureness of language itself through the shape of language like Robert indiana and Ed Rusha. Rather than Lee Jang Wook's interest looking like it's formatted or aesthetics but looks like it is within the semiology pursuit about wrinkles of time and memory itself. Another important factor is Lee Jang Wook's separation is going down the different path from disassembling when it is to ore clearly magnify the historic, social context of language. In that context Lee Jang Wook's experiment even has a meaning of restoration. It pursues the inner wrinkle of language and unfolds it, to narratively restructure the history of life covered by the dull things that has become personalized or institutionalized. This is like a work of archaeology that examines the structure variability of language in the context of society. Like this, Lee jang Wook's present exhibition is an extension of his work that collects language, examining, pursueing and interpreting it's meaning and shape. Based on his own emotion and cognition to capture the mood and temperature of language's inherent quality, to discover cheerfulness, depression, pain and recovering and lose and delight that is inherent on each chronological layer.

 

 Lee Jang Wook's attitude is serious, and has warm affection of mankind on the target system he or she handles. This becomes the basis that makes us anticipate a more and deeply interesting path that is inevitable to finding ourselves from it. 

 © 2019 by JWArT 

  • Grey Facebook Icon
  • Grey Instagram Icon
  • 회색 유튜브 아이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