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iment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 유상곡수(流觴曲水)를 스마트폰과 같은 현대의 콘텐츠로 재현한 인터랙티브 아트.
<Sediment² >에서 아두이노와 센서를 활용하여, ‘말의 시작 - 아기의 옹알이’를 컴퓨터 신호음으로 표현하였으며, 그다음 시리즈 <Sediment³>에서는 AR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폰 배에 참여한 시민들의 이야기를 하나씩 담아 들려준다.
An interactive art reproduced the ancient East Asia’s culture called ‘YuSangKokSu’ by a modern form factor such as smartphones.
In <Sediment² >, ‘Beginning of words – baby’s gurgle’ was reproduced by a computer signal sound using Arduino and sensors, and <Sediment³> reproduces each story of project participants on a smartphone boat utilised by AR technology.
The Sediment
2012
h 121.0 x w 390.0 x d 330.0 cm
PVC pipe, iron, mixed media
PVC관, 철, 혼합재료


ULTRA AWARD 2012, Kyoto Japan



"Sediment(퇴적,침전물,앙금)는 역사라는 기나긴 커뮤니케이션, 즉 '인류의 일기'를 의미합니다.."
「Sediment」(堆積、沈澱物、よどみ)とは、歴史という長いコミュニケーション、すなわち人類の日記そのものを意味します。
< Sediment² > movie in Galeria Aube, Kyoto


Sediment³
2018
h 121.0 x w 390.0 x d 310.0 cm
PVC pipe, iron, mixed media
PVC관, 철, 혼합재료



< René Dialogi > Second Solo Exhibition in Peace Culture Bunker, Seoul


“ 화상인식 AR 기술을 토대로 시민의 참여를 받아, 각자의 일상에서 의미가 있는 사물(오브제)에 관한 추억 이야기(시)를 녹음하여 움직이는 배의 이미지에 싣고 초소형 컴퓨터를 통해 번역하게 한다. 사물은 전시기간 동안 빌려서, 작품과 함께 공간구성을 한다.”

